반응형
1. NOS(Network Operating System) 개요
- Network Operating System (네트워크 운영 시스템)
-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운영체제를 사용함
- = 네트워크 장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NOS 사용함
- NOS 기능
- 구성된 네트워크 내에서 서버와 클라 간 원활한 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자원 공유 가능 제공
- 클라의 제어 기능 제공
2. Window Server 2016
1) 개요
- Window Server 2016 = Windows 10 기반 (이전에 비해 보안강화,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)
- 에디션별 분류 : Datacenter, Standard, Essentials
- 설치 옵션별 분류 : 데스크톱, 서버코어, 나노코어
2) Windows Server 2016 의 새로운 기능
- 클라우드 환경 최적화 :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
-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센터(SDDC) 구현
- 보안성 향상
- Windows Server 컨테이너 빌트인 설치 : 컨테이너 효율성을 윈도우 환경에 적용
- 나노 코어 설치 옵션 추가
3) 액티브 디렉터리
개요
- 네트워크와 관련된 모든 개체들의 데이터를 저장하고,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이 이 데이터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Windows Server 2016 디렉터리 서비스
- 디렉터리 내의 데이터는 하나의 개체(obejct)로써 표현되며, 각 개체는 속성과 값으로 구성
- 개체의 종류 : 사용자와 그룹, 네트워크 다비이스, 응용프로그램, 각종서비스, 공유데이터
- NTFS 포맷일 때만 작동
- 단일 로그온 기능 (한 번의 로그인만으로도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자원에 접근 가능)
- 설치 및 삭제 명령어 : DcPromo
- 체계적인 프로토콜과 포맥을 기반으로 편리한 API 제공
- 도메인이라는 관리 단위를 통해 자원을 중앙에서 관리하기 용이함
일반 디렉터리와의 차별점
- DNS와의 통합을 바탕으로 DNS에 대한 지원 가능
-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인 API 제공해 관리 효율 제고
- 도메인 기반의 논리적 계층구조를 통해 확장성 높게 관리 가능
- 도메인 단위의 컨트롤을 통해 도메인별 독립성 보장
논리적 구조 및 구성요소
- 개체와 스키마 : 개체, 개체클래스, 스키마
- 도메인 : 도메인, 도메인컨트롤러, 컨테이너, 조직 구성 단위
- 트리와 포레스트 : 트리, 포레스트, 글로벌 카탈로그
LDAP (L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)
- 경량 디렉터리 접근 프로토콜
- TCP/IP 혹은 다른 연결지향적 전송 서비스 위에서 디렉터리 내의 정보를 조회하고 접근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
- 액티브 디렉터리 서비스는 LDAP 통해 구현됨
- 디렉터리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경량화된 클라-서버 프로토콜
- X.500 DAP 기반
- 현재 디렉터리 서비스의 표준 프로토콜
- RFC 4511에서 규정된 버번3가 가장 최신
- 기술적 상세 내역은 RFC 4510
- 하나의 웹사이트에 디렉터리 별로 인증 및 권한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기 위해 가상 디렉터리(Virtual Directory) 사용
4) 하이퍼브이(Hyper-V) : 가상화 기술
- 네이티브형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Microsoft 사의 대표적 윈도우 서버 가상화 기술
- X64 시스템용
- 윈도우 상
- 가상 머신을 통해 여러 개의 운영체제 실행 가능
- 하드웨어 가상화를 통해 자원 효율적으로 관리함
- 윈도우 서버 상
- 가상 컴퓨터 마법사 등을 통해 가상의 하드디스크 관리 가능 (서버의 가용성 높임)
- 테스트 환경의 효율 개선 가능
- 서버의 운영 및 유지비용 절감 가능
- 새 가상 하드디스크 마법사를 통해 생성 가능한 디스크
- 동적 확장 디스크 :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면 저장한 크기까지 자동으로 용량 늘어남
- 고정 크기 디스크 : 운영 환경용 디스크, 저장된 데이터의 양에 관계없이 저장한 크기의 공간 사용
- 차이점 보관용 디스크 : 원본 가상 디스크를 기준으로 차이점만 보관하는 디스크, 원본디스크와 부모-자식 관계로 연결, 부모디스크에 영향 안줌, 데이터나 운영체제 변경해도 복구 가능
- 하이퍼브이를 통해 생성하는 가상의 하드디스크 : 동적 확장 디스크
- 서버 관리자의 역할 추가함으로써 Hyper-V 기술 관리 가능
- 리눅스 운영체제
- 기본적으로 전가상화 방식 제공
- 반가상화 방식을 원할 경우 리눅스 통합 구성요소와 Satri inputVSC 드라이버 설치 뒤 사용
5) Window 서버 계정
개요
- 컴퓨터나 네트워크 상의 자원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주체
- 서버 내에는 다수의 사용자 및 사용자 그룹이 존재 가능하며, 각 사용자 혹은 그룹마다 별도의 환경 구성 가능
- 각 계정은 다른 계정과의 구별을 위해 도메인 내에서 고유한 이름 가져야 함
- %username% : 디럭터리 상의 최종 경로에서 사용자의 이름을 대신해 사용하는 시스템 변수
- 계정의 확인 및 추가 가능
- "제어판 > 관리도구 > 컴퓨터관리 > 로컬 사용자 및 그룹 > 사용자 경로" 통해 현재 컴퓨터에 등록된 계정의 종류 및 권한 확인
- "마우스 우 클릭 > 새 사용자"를 선택해 새로운 사용자 계정 추가 가능
- 사용자 계정 이름 설정 : 모든 계정 이름은 유일, 다른 계정과 중복 불가, 최대길이 20자, 특수문자 사용 불가능
계정의 종류
- Built-in(내장) 사용자 계정 ( Administrator / Guest / DSMA )
- Administrator
- 시스템 관리를 위한 관리자 계정, 삭제 불가능, 이름변경 가능
- 도메인에 할당된 관리자 계정 : 도메인 전체를 관리하는 권한 있음
- 도메인 하부의 독립 서버 및 클라 관리자 계정 : 해당 로컬 시스템을 관리하는 권한 있음
- 프로그램 설치 및 관리 영역 내의 사용자 계정을 생성 혹은 삭제하고 계정별 사용 권한 부여 가능
- Guest
- 등록된 계정을 보유하지 않은 외부인 등이 시스템 혹은 컴퓨터에 접근할 때 보안을 위한 제한된 기능만을 허용하는 계정
- 기본은 비활성화
- DSMA (Default System Managent Account)
- 기본 시스템 관리 계정
- 여러 사용자를 한번에 인식하거나 사용자 신원 프로세스 실행을 위해 사용하는 사용자 중요 계정
- 기본은 비활성화
- Administrator
- Local 사용자 계정
- 로그인할 수 있는 계정
- 특정한 컴퓨터에 저장하는 계정
- 해당 컴퓨터만 접근 가능
- 도메인 사요자와는 다름 개념으로, 네트워크 도메인 컨트롤러 상에 미등록되었기 때문에 네트워크 시스템 전체의 자원에는 접근 불가능
- 사용자로 등록된 컴퓨터 상의 자원에만 접근 가능
- 일반적인 계정은 모두 로컬 사용자 계정임
- Domain 사용자 계정
- 도메인 컨트롤러 관리 하의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 가능한 계정
- 유저가 로그인 시 도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도메인 사용자로 인증받아 로그인함
- 로컬 유저와 등록 절차는 동일하지만, 서버가 도메인 컨트롤러로 지정된 사용자들의 계정임
- 도메인 컨트롤러 안에 있는 액티브 디렉터리 db 상에 등록되므로, 계정을 만든 컨트롤러가 접속 중이지 않더라도 네트워크에 접그 가능
- 도메인 컨트롤 : 사용자가 전속 중일 때 각 사용자별 계정 정보 및 보안 정보를 토큰으로 생성해 도메인 유저에게 전달해주며,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자원에 접근 가능
6) Window 서버 그룹
개요
- 여러 사용자를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 수당
- 유사한 특성의 사용자들을 그룹화하여 동일 레벨의 권한을 설정하고 보안 유지
- 그룹 내에는 사용자 계정 뿐만 아니라 하위 그룹도 포함 가능
- 그룹의 확인 및 생성 명령어
- net localgroup
- net localgruop group1 /add, net localgruop group1 /delete
- net localgruop group1 user1 user2 /add, net localgruop group1 user1 user2 /delete
그룹의 종류
- 그룹 만드는 목적에 따른 분류
- 보안그룹 : 네트워크 상 자원의 접근 권한 설정 목적, 자원의 접근 가능 정도에 차이를 주어 보안 그룹 권한 설정
- 분배그룹 : 단체 메일 전송 등 보안과는 관계 없은 단순한 그룹화 목적
- 그룹 내 사용자와 권한에 따른 분류
- 도메인 로컬 그룹
- 로컬 그룹은 도메인 컨트롤러가 아닌 컴퓨터에서 생성 가능한 그룹으로, 도메인 컨트롤러의 경우는 도메인 로컬 그룹이 됨
- 도메인 내에서 최상의 권한을 보유하여 전체에 권한을 갖는 그룹
- 글로벌 그룹
- 같은 도메인 내의 사용자 계정을 조직화 하기 위한 그룹
- 로컬 도메인의 사용자만 구성원으로 가질 수 있지만, 반대로 특정 도메인 내에 글로벌 그룹이 포함된다면 글로벌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들은 해당 도메인이 자원에 모두 접근 가능
- 유니버셜 그룹
- 모든 도메인 내의 사용자 계정을 조직화 하기 위한 그룹
- 도메인로컬 그룹의 장점 + 글로벌 그룹의 장점
- 글로벌 그룹이 로컬 도메인의 사용자만 가질 수 있는 반면, 유니버셜 그룹은 동일 포레스트 안에 있는 어떠한 사용자 계정도 구성원으로 가질 수 있음
- 도메인 로컬 그룹
로컬 시스템 환경상의 빌트인 그룹
- Access Control Assistance Operators
- Administrators
- Backup Operators
- Cryptographic Operators
- Device Owners
- Distributed COM Users
- Event Log Readers
- Guests
- Hyper-V Administrators
- IIS-IUSRS
- Network Configuration Operators
- Performance Monitor Users
- Power Users
- Remote Desktop Users
- Remote Manegement Users
- Replicator
- Sysetm Managed Accounts Group
- Users
도메인 시스템 환경상의 빌트인 그룹
- Authenticated Users
- Creater Owner
- Everyone
- Interative
- Network
워크그룹 (Work Group)
- 수평적인 구조를 가지는 작은 네트워크에 적합한 네트워크 연결 방식
- SAM
- 보안 및 관리 문제로 일정 규모 이상의 중대형 네트워크에는 부적합
SID (Security IDentifier)
- 사용자나 그룹에게 부여되는 고유 보안번호
7) Window 서버 파워쉘 (PowerShell)
- Microsoft 사 개발한 CLI
- 셀과 스크립트 언어(.txt)를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 해석기
- 자동 탭 완성 지원
- 파이프라인 지원
- 다중입력
- Cmdlet
- 기존 DOS CMD 명령어 지원
- 스냅인을 이용한 확장
8) 보안
- Windows 로컬 보안 기능
- 사용자의 그룹과 권한을 설정하는 것이 1차적인 보안관리 정책
- EFS (Encrypting File System) : 윈도우 OS 상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암호화하고,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암호 해독, 파일 접근, 파일 관리 권한을 주는 암호화 기법
- Windows Server의 보안 기능
- 인터넷 표준 보안 프로토콜 기반의 인증이 지원됨 (분산보안 프로토콜: 케베로스 및 TLS)
-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는 공개키 인증서를 통해 인증하여 기존 Windows 계정에 연결됨
- 액티브 디렉터리를 통해 도메인별 접근 권한 설정 가능
- SAM (Security Account Manager) : 소형 네트워크용 보안 계정 관리자
- SID (Security InDentifier) : 사용자가 그룹에게 부여되는 고유 보안 번호
- NAC (Network Access Control) : 모든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 정책을 검사하고 IP 및 MAC 주소를 통해 허가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자원의 이용 가능성 여부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접근제어 프로그램,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보안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보안 위협 정도에 따라 디바이스를 분류 및 관리
9) NTFS
-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의 관리 방법
- 기존 FAT 시스템을 개선하여 새롭게 개발된 파일 시스템
- 하나의 데이터를 두 개의 디스크에 입력하여 정보 보안 및 안정성, 복구 용이성에 특화된 파일 시스템
- 높은 보안성
- 고성능, 대용량(2TB) 하드디스크 지원
-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중복 배열하여 소프트웨어적인 RAID 구현 가능
- 데이터 복구 지원
- 재부팅 없이 하드디스크 용량 관리 가능
- 파일 과 디렉터리의 압축, 저장 및 실시간 복구 기능 지원
- POSIX의 요구사항 지원
- FAT 대비 긴 이름의 파일명 지원
- 다국어 지원
- FAT 에서 NTFS로 파일 시스템 변환 가능, 명령어 : =Convert C:/FS:NTFS
- NTFS 에서 FAT로 파일 시스템 변환 불가능
- FAT <<< NTFS(WindowXP) <<< ReFS(Window8)
10) 동적디스크(RAID)
- 동적디스크(변환전) - 기본디스크(변환후) : 모든 자료 유실
- 기본디스크(변환전) - 동적디스크(변환후) : 듀얼부팅 불가능, 재부팅불필요, 자료보존 가능
11) 웹서버 - IIS
-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
- HTML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
- 한 대의 서버가 동일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웹 브라우저의 세션을 관리해야 하는데, 이 관리 프로그램 = 웹서버
- ISS 설치 : 제어판 > 프로그램 및 기능 >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> 인터넷 정보 서비스 확인란 체크
- ISS 특징
- FTP, SMTP, NMTP, HTTP/HTTPS 등 인터넷 정보 서비스와 관련한 프로토콜 포함
- ASP.NET(Active Server Page) : 동적으로 웹페이지, 웹애플리케이션, 웹서비스 등을 만들기 위한 서버 측 스크립트 엔진
- 로그 관리
- 윈도우 운영체제 : IIS
- 리눅스 계열 : Apache Web Server
- 그 외 : 엔진엑스, 구글웹서버 ..
12) FTP
- 인터넷을 통해 서로 다른 디바이스가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응용 계층 프로그램 프로토콜
- 20번 :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포트번호, 액티브모드
- 서버지정번호 : 패시브모드
- 21번 : FTP 접속하기 위한 연결 제어 포트 번호
- IIS 내의 FTP 관련 기능 있음
3. LINUX
1) LINUX 개요
- 자유롭게 만들고 배포 가능한 오픈소스 운영체제
-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 : 슬랙웨어, 페도라, 레드햇, 우분투, 데비안 ..
2) LINUX 일반적 특징
-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작업
-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시스템 상에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
- 계층 별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자별 권한과 자원을 관리함
- 하나의 운영체제 내에서 CPU를 계획적으로 사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작동 가능
- 다중 처리 시스템
- 여러 개의 CPU를 동시에 구동하여 작업을 병렬적으로 진행하므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
- 동급 타 OS 대비 우수한 성능
-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
- FAT, FAT32, NTFS, ISO9660, HPFS 등
- 확장성과 유연성
- 유닉스(대형 컴퓨터용 운영체제)의 모든 특징을 가질 뿐 아니라,
- 유닉스의 표준인 POSIX 지원
- 우수한 네트워킹 기능
- 다양한 네트워킹 프로토콜 지원
- IP주소, 게이트웨이, 서브넷 등을 설정하기만 하면 바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타 운영체제에 비해 네트워킹 설정이 간단함
-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
- 커널(운영체제의 핵심 기능: 프로세서, 메모리관리, 프로세스관리 등) 뿐 아니라 편집기, 개발도구, 서버-클라이언트 프로그램, 보안도구 등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포함
- 서비스 지원 부족
-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개인 개발자들이 개발하여 배포하는 비상업용 애플리케이션으로, 문제 발생 시 신속 대응 어려움
- 사용자의 숙련도 요구
3) LINUX 기술적 특징
- 계층형 파일 시스템
- 루트를 기반으로 하여 디렉터리를 쉽게 생성 및 관리
- 장치의 장치 파일화
- 리눅스는 장치(하드디스크, 모니터, 프린터, 키보드 등)를 파일처럼 다루고 관리
- 가상 메모리
-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메모리 처럼 사용함
- SWAP 영역 :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하드디스크 영역
- 가상 콘솔
- 하나의 모니터에 기본적으로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해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
- ctrl + alt + f1 ~ f6
- 동적 라이브러리 지원
-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루틴들을 링크시켜두면 모든 자원들을 실행 파일 내부에 넣어두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마다 가져와 사용하므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
4) LINUX 구조
하드웨어(HW: CPU,RAM) < 커널 < 셀(csh, bash) < 응용프로그램(패키지, vi에디터)
커널 (Kernel)
- 리눅스 상에서 커널은 리눅스 그 자체이며, 운영체제의 역할을 담당 (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 제어 역할)
- 프로세서의 사용을 관리
- 메모리의 사용을 관리
- 실행 중인 작업을 관리
셀 (Shell)
- 유닉스 운영체제용 명령어 해석기 프로그램
- 소프트웨어 실행을 위해 커널과 소프트웨어 사이에 셀 존재
- 셀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아서 바로 실행시키는 통역사 역할을 함
- 가장 기본적인 셀 : bash
- csh, korn shell
5) LINUX 파일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
리눅스 파일 시스템
- ext2, ext3, ext4 등 존재
- 현재 대부분의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ext4 파일 시스템은 대용량 파일을 저장 및 관리 가능, 무결성 오류 검사인 fsck 지원
- 저널링 파일 시스템 :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기록된 변경사항을 추적하여 복구하는 기능, EXT 3, EXT 4, JFS, ReiserFS 등에서 지원
리눅스 파일 시스템 디렉터리 구조
- / (루트 디렉터리)로 부터 전체적으로 역 트리 구조
- 명령어의 종류나 사용 권한 등에 따라 각각의 디렉터리들로 분류됨
- 리눅스의 디렉터리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폴더와 유사한 기능을 가짐
- /
- 루트 디렉터리
- /bin
- 시스템 기본 명령어, 파일/텍스트/네트워크 처리 명령어 등 각종 명령어들이 실행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
- 어떤 경로에 있던지 연동되어 실행됨
- /boot
- 시스템 부팅 시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
- /dev
- 장치의 마운트 지점 제공
-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마우스, 키보드, 모니터, 그래픽카드, CD-ROM, 하드디스크 등 주변 장치를 파일로 처리하여 저장하며, 각종 시스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보를 포함
- /etc
- 거의 모든 시스템 설정 파일 들어있음
- group : 그룹 정의 파일
- printcap : 프린터 목록 파일
- fstab :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파일 시스템을 등록해두는 파일 시스템 테이블
- 각종 네트워크 관련 파일과 기본적인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들
- /etc/passwd : 생성된 계정 정보 저장
- /etc/shadow : 사용자 정보 중 패스워드 저장
- /etc/fstab : 하드디스크, USB, CD-ROM 등의 마운트 항목과 옵션이 정의
- /etc/names.conf : 리눅스에서 DNS 서버의 설정과 관련된 디렉터리
- /etc/httpd/ : RPM으로 설치된 아파치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
- /etc/initd/network restart : 재부팅 없이 네트워크만을 재시작하는 명령어
6) LINUX 파일 시스템 관리
- fdisk : 파일 시스템 생성을 위해 하드디스크에 추가해 하드디스크를 분할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- mkfs : 생성된 파티션에 하드디스크를 생성하는 명령어
- fsck : 파일 시스템상의 오류를 체크하는 명령어
- mount :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나 디렉터리, 파티션 등을 논리적으로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
7) LINUX 명령프롬프트 구조
- 리눅스 부팅 후 로그인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함
- 터미널을 통한 명령어 입력 시 프롬프트 구조
- 일반 사용자: $
- root 사용자 : #
8) LINUX 계정관리
- useradd : 리눅스에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
- passwd : 계정 생성 후 패스워드를 설정
- shadow : 계정 생성 후 패스트워드 설정 후 설정된 계정별 패스워드가 저장되는 파일
9) LINUX 권한관리
- chmod :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시스템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
- umask : 파일 생성 시마다 매번 권한을 부여할 필요 없도록 디폴트 권한을 저장한 값
- umask 042 = 666-042 = 624 = rwx / wx / rx
- chown : 파일의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어
- chgrp : 파일의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
- chage : 계정의 패스워드 및 로그인 정보를 관리하는 명령어
10) LINUX 시스템 관리 명령어
- mkdir : 새로운 디렉터리를 생성하는 명령어
- rmdir :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
- cp :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복사하는 명령어
- rm :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멸영어
- mv :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어
- cd : 경로를 이동할 때 (디렉터리 변경) 사용하는 명령어
- ls : 해당 디렉터리나 파일의 구성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
- free : 시스템 메모리를 체크하는 명령어
- 메모리의 전체용량, 잔여 메모리용량, 사용중인 메모리용량, SWAP 메모리용량, 커널에서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 및 버퍼의 용량, 캐스 메모리용량 등
- find : 특정 파일을 찾는 명령어
- man :명령어의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
11) LINUX 텍스트 명령어
- cat : 파일의 내용을 텍스트로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
- grep : 특정 파일 내에서 문자열을 검색하는 명령어
- wc : word count / 단어 수나 줄 수를 세어주는 명령어
12) LINUX 네트워크 명령어
- ifconfig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
- ping :입력된 사이트와의 통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명령어
- netstat :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 (활성화된 포트, 진행중인 서비스 프로세스 출력)
- arp : IP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명령어
- traceroute :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알 수 있는 명령어
- nslookup : 도메인명을 입력하면 IP 주소를 출력하는 명령어
13) LINUX 프로세스
- ps
-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, 프로세스가 유효한지 여부 확인 가능
- 프로세스의 번호(PID) 확인 가능
- ps -ef : CPU의 사용현황과 사용 중인 프로세스 확인 가능
- DAEMON
-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며, 고유한 기능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동작함
- 서비스를 제공한 뒤 대기 상태로 돌아감
- 시스템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세스
-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그 기능을 도와줌
- ps afx : 데몬 프로그램의 활동 확인 가능
14) LINUX RPM (Redhat Package Manager)
- RPM 패키지 : 래드햇에서 제작, 배포한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
- 특정 시스템에 최적화된 컴파일 소스 묶음을 다른 시스템에서도 활용 가능함
- .rpm : 파일 확장자
15) LINUX SAMBA
- 리눅스와 다른 운영체제 간의 자원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
- 일종의 공유 클라우드
- 윈도우 시스템과 디렉터리 및 파일의 공유, 프린터, USB 등 공유 가능
- TCP/UDP의 137,138 포트 이용
4. vi 편집기
- 유닉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 편집기
- vi 시작 명령어 - vi [파일명]
- 입력모드 전환 명령어 - i , I , a , A , o , O
- 커서 이동 명령어 - h , j , k , l , w , e , b , enter , back space , space bar , $
- 텍스트 변경 명령어 - cw , cc , r-Enter , J , xp ,
- 텍스트 삭제 명령어 - x , nx , dw , dd , ndd , db , D
- 보관 및 종료 명령어 - :w , :w[파일명] , :wq , zz , :q! , q , e!
반응형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관리사2급 실기] 01. 네트워크 환경설정 | 웹사이트 추가 설정 | FTP 사이트 추가 설정 | DHCP 설정 (0) | 2024.06.15 |
---|---|
[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] 합격후기 및 공부법 2024.05.19 응시 (0) | 2024.05.21 |
[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] 3과목. NOS(Network Operating System) 기출문제 (0) | 2024.05.12 |
[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] TCP/IP, 네트워크 일반, 네트워크 운용기기 (0) | 2024.05.12 |
[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] TCP/IP, 네트워크 일반,네트워크 운용기기 기출문제 (0) | 2024.05.12 |